인터넷의 지혜 SoonJins 2018. 11. 4. 18:07
텀블러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과 같은 SNS 서비스 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2007년부터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요소도 있지만, 페이스북과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될 듯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동영상을 거침없이 올리 수가 있고, 그리 유명하지 않은 SNS 서비스이고, 제재범위에 벗어나서 그런가 텀블러를 악용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사생활이 담긴 사진이나 동영상을 올리고, SNS라는 기능 요소를 이용해 나쁜 만남 등을 하려는 것을 유명합니다.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근에 이런 유저들을 상대로 제재가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눈깜짝할 사이에 텀블러 탈퇴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텀블러 탈퇴는 매우 쉽게 ..
인터넷의 지혜 SoonJins 2010. 7. 8. 23:09
2010/04/11 - 트위터 사용법 - 1. 왕초보 트위터 가입하기 2010/05/12 - 트위터 사용법 - 2. 간단한 사용법 2010/05/22 - 트위터 사용법 - 3. 트위터 글쓰기 방법 2010/06/04 - 트위터 사용법 - 4. 트위터 사진올리기 트위터 사용법 : 짦막한 트위터 설명 트위터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어서 트위터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무작정 트위터에 가입을 하는 것보다는 트위터 용어 설명을 시작으로 팔로우 늘리는 방법까지 몇가지를 집어보고 트위터를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아서입니다. 그러면, 회원가입을 하기 전에 트위터 설명을 참고 해주세요! 트위터 사용법 : 트위터의 시작과 문자 제한 이유 트위터는 2006년 7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SNS서비스입니다..
인터넷의 지혜 SoonJins 2010. 5. 12. 22:30
오랫만에 트위터 사용법에 대한 글을 올립니다. 굉장한 스킬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지난 번 "트위터 사용법 - 1. 왕초보 트위터 가입하기(http://soonjin.com/1507)" 글을 생각보다 많은 분들 보았고, 많은 사랑을 주셔서 자신감을 가지고 다시금 글을 이어봅니다. 또한, 그 동안의 "게으름"을 제쳐두고 징하게 트위터 사용법에 대한 글을 올려볼까 합니다. 지난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트위터는 요즘 대세입니다. 2~3년 전만해도 그리 인기가 많지 않았지만, 유명인들이 사용하면서, 아이폰 같은 스마트 폰 보급되면서, 최근들어 더욱! 부쩍! 사용자가 많아 진듯 합니다. 그만큼 트위터의 인기도 높지만, 트위터가 대세라는 것이겠죠! 자, 잠말은 없애버리고 본론으로 들어가서, 트위터 사용법 두번째 글 ..
인터넷의 지혜 SoonJins 2010. 4. 11. 15:15
오늘은 트위터(Twitter) 사용법을 글로 써볼까 합니다. 2~3년 전 해외에서 인기를 끌어오던 트위터(Twitter), 국내에서 잠잠하더니, 아이폰 등의 스마트폰 대중화와 김연아 트위터(Twitter) 소식 등의 요소가 합쳐지면서 네이버의 미투데이를 제치고 SNS의 대세가 된 듯합니다. 저도 2년 지인을 통해서 트위터(Twitter)를 알게되었지만, 주변에서 하는 사람들도 없고해서, 방치하다가 작년부터 조금~아주 조금씩 구경만했는데... 대세라는 트위터(Twitter)를 하지 않으면, "쪽박" 될 것 같은 위기감에 이번달부터 아주 조금씩 시작하고 있습니다. 트위터(Twitter)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인 싸이월드의 미니홈피와 블로그에 이어 트위터(Twitter)가..
IT, Car 그리고, 뉴스 SoonJins 2009. 2. 5. 00:05
지난해 4월 한국시장을 진출 했던, 마이스페이스(Myspace)가 1년도 채우지 못하고 철수를 한다고 합니다. 보통 1주년이 되면, 언론에 "1년 히스토리" 보도자료를 쫘악~뿌리고, 각종 이벤트로 '넷심'의 관심을 사는 등 경사스러운 분위기를 내는데, 당황스럽게도 마이스페이스는 "철수" 보도 자료를 쫘악~뿌렸습니다. 마이스페이스 관계자로 추정되는 "찬님"의 미니로그를 통해 "한국시장 철수" 소식을 조용히 알려왔습니다. (론칭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미국의 SNS 양대산맥중에 하나인 마이스페이스가 힘 한번 못 쓰고, 조용히 한국 시장에서 사라지게 되었는데, 사실, 마이스페이스의 '한국 진출' 실패는 예견되었던 일입니다. 첫번째, 마이스페이스의 UI는 한국 유저들이 사용하기에는 익숙하지 않은 점과 ..